이번에 소개할 브랜드는 바로 '현대자동차'입니다.

현대자동차는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경영전략을 상당히 잘 활용하는 기업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현대자동차의 환경대응전략에 초점을 맞추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에 들어가기 앞서, 간략히 환경대응전략의 두 가지 개념을 먼저 살펴보고 넘어가겠습니다.

1)환경적응(adaptation) : 환경을 있는 그대로 놓아둔 채 기업 자체가 환경에 맞추어 나가는 것

2)환경통제(control) : 기업의 구미에 맞도록 환경을 바꾸어 나가는 것

이 두 가지 대응전략을 어떻게 현대자동차가 잘 활용하고 있는 지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과감히 등장한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1967년 12월 미국 포드자동차와 합작 회사로 출발하였는데요, 그 뿌리는 자동차정비업이었다고 합니다.

창업자인 고(故) 정주영 회장은 1940년대 초 서울에서 아트서비스라는 자동차정비업을 시작했고, 1950년 현대자동차공업사와

현대토건을 합병해 현대건설을 설립하면서 자본을 축적했습니다.

이 당시 일제시대로, 한국에는 자동차가 고위층 몇몇 사람들에게만 있는 아주 휘귀한 물건으로 인식되었었습니다.

그러나, 이에 고(故) 정주영 회장은 머지않아 이 자동차들이 한국에 널리 보급될 것이며 그에 대한 수요는 상당히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을 하고 자동차 산업을 시작하게됩니다. 이렇듯 미래의 환경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과 이에 대해 실천으로 옮기는 과감한

추진력은 기업의 경영자로서 상당히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측성은 경영자의 느낌으로 판단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정확한 예측은 환경변화에 대한 수 많은 정보의 수집을 통해 분석되는 결과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이렇듯 현대자동차는 환경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으로 탄생하게 되었고,

1976년 국내 최초 자체 모델인 '포니'를 생산함으로써 자동차 역사의 첫 장을 열고 승승장구 하게 됩니다.

국내 최초의 자동차 기업에서 현재는 글로벌한 세계 최고 중 하나인 자동차 기업으로 성장하게 된 현대자동차.

이러한 성장 속에서도 현대자동차의 환경대응전략이 빛을 발하게 됩니다.



2)현대자동차의 주요 경영전략- 현지화 전략과 수직계열화 전략

(1)현지화 전략

현대자동차는 해외에 공장을 설립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바로 환경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현지화 전략을 활용한 것인데요.

현지화 전략은 경영활동이 벌어지는 나라의 상황에 맞추어 구매, 디자인, 판매, 광고, 인사관리방식을 펴 나가며 

자본이나 인력도 현지에서 많이 조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전략을 통해 그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경영전략을 도출 할 수 있으며

자원조달의 최적화의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혹시 아시나요?

현대자동차가 세워진 대표적인 미국과 중국의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자동차는 현지화에 맞게 재조정 된다고 합니다.

미국에 세워진 공장은 디자인과 현지화에 주력을 하는 데 젊은 소비자를 목표로 주력 차종의 디자인을 미국에 맞게 재구성되며,

중국에 세워진 공장은 역시 디자인과 현지화에 주력하며 외형과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인 성향에 맞게 디자인을 변경하고

그에 맞는 생산전략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진출한 각 나라에 맞는 경영전략인 현지화 전략으로 효과적으로 환경적응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대자동차가 환경적응 전략만 취하고 있을까요?

(2)수직계열화

2010년 현대 일관제철소의 준공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은 쇳물에서 자동차까지 이르는 산업의 수직계열화를 완성시켰습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자원순환형 그룹 구조를 이루어 냄과 동시에 향후 글로벌 자동차 업체로 입지를 확고히 하는 기반이 되었는데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현대제철에서 생산한 철로 현대모비스에서 부품을 제조하고 현대하이스코에서 제작한 강판을 사용하여

현대자동차가 완성품을 만들면 이를 현대글로비스라는 회사를 통해 운송합니다. 또한 금융과 연계되어 할부제도를 통해 

차량의 판매까지 관여하는 거대한 시스템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직계열화는 위에서 설명한 환경적응전략과는 반대되는 환경대응전략입니다. 

경쟁회사나 원료공급회사 혹은 판매대리회사 등과 합병하든지 경영진을 상호 겸임하게 하면 그 회사들로부터 가해지는 위협이

감소될 것입니다. 즉,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구미에 맞게 환경을 바꾸어 놓을 수 있는 것이죠. 

이렇게 현대자동차는 환경적응전략 뿐만아니라 환경대응전략을 활용하며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점점 더 키우고 있습니다.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경영전략을 현대자동차가 상당히 잘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위의 주요 환경대응전략(현지화전략, 수직계열화)로 현대자동차가 타 자동차 기업과는 다른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1)현지화전략으로 각 국가에 맞는 제품 생산과 현지화된 모델에 집중 투자하여 주력 소비층을 공략하여 점유율을 높이고,

2)수직계열화로 생산 비용을 최소화하고 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정적인 공급을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강점으로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기업으로 우뚝 설수 있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도 그들의 환경변화 대응 전략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인지 궁금하네요. 이상 현대자동차 포스팅 이었습니다~



+ Recent posts